생명을 다치지 않게 하는 농법인
자연순환농법으로 키운 우리 토종벼
토종벼는 오랜시간 자연적으로 살아서 버틴 품종으로, 자생적인 생명력을 지닙니다. 야생성이 강해 화학 비료를 주면 쓰러지고 맙니다. 척박한 환경에서 자라는게 익숙한 작물로 스스로 그 강인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1910년, 토종벼 1500여종이 한반도에서 자랐습니다. 현재의 획일화된 일반 백미가 아닌, 한품종 한품종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현재 생태농법으로 수확에 성공한 토종벼 중, 특히 찰기를 띄는 찰벼 9종을 블렌딩하여 도화가인의 특징성분으로 꼽게 되었습니다.
Traditionally, wild rice maintains a self-sustaining rich disposition. Many of the species native to Korea have stood the test of time, growing strong in nature.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chemicals and pesticides in modern farming, these species and harvesting techniques have all but died out.
Before 1910, over 1,500 types of traditional rice strains were grown and farmed in the Korean peninsula. Unlike the standardized white rice commonly distributed today, those ancient types each had their own unique traits.
Through extensive research and testing both on the farm and in the lab, Dohwa Gain has blended nine of the best strains of wild rice for our special skincare ingredients